1. 반도체 제조공정
-. 반도체 제조공정은 크게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나눌 수 있음
-. 이를 세분화하면 8대 공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
1. 웨이퍼 제조 -> 2. 산화 -> 3. 포토 -> 4. 식각 -> 5. 박막,증착 -> 6. 금속배선 -> 7. EDS -> 8. 패키징공정
으로 나눌수 있음
-. 이 중 이번 포스팅에서는 웨이퍼 제조 및 산화공정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
2. 반도체 전공정(웨이퍼 제조, 산화) 관련주
1) 티씨케이
-. 반도체 전공정인 웨이퍼 제조공정 사업을 영위
-. 고순도 흑연을 사용해 반도체 및 태양전지용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Growing 장비용 흑연 부품을
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, 반도체 디바이스 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비의
Solid SiC Wafer, Ring 및 SiC제품 생산.
2) SKC
-. SK그룹 소재전문기업으로 모빌리티, 반도체, 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.
-. 모빌리티는 2차전지에 들어가는 동박을 생산하며, 반도체는 자회사 SKC솔믹스에서
CMP(화학적기계연마)패드, 블랭크마스크, 세정사업을 영위
3) 케이씨텍
-. 반도체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의 제조 및 판매는 업체로써
CMP, 세정장비/디스플레이 Wet-station 및 Coater 장비, 반도체 Slurry 등 을 제조 및 판매함.
4) 솔브레인
-. 식각액과 세정액, CMP Slurry, Precursor 등 반도체 핵심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화학 재료를 생산
5) 나노신소재
-. 반도체 전공정에서 웨이버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연마용 CMP 슬러리 소재 생산
6) AP시스템
-. 반도체 전공정인 산화공정에 쓰이는 급속열처리장비 제조
7) 예스티
-. 반도체용 열처리 장비를 개발 및 제조
-. 2020년 산자부에서 주관하는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 중 원자층증착(ALD) 장비 개발 사업 선정
-. ALD 장비는 메모리 반도체의 제조 공정 중 유전막을 증착하는 장비로
점점 박막화·소형화되어가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에 적합한 공정 장비임
-. 또한 고속·고품질의 Maskless 플라즈마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 가공장비 개발도 진행중